<aside> 1️⃣ 쿼리 스트링이란?
</aside>
쿼리 문자열(query string)**은 URL의 일부로, 웹 서버에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.<aside> 2️⃣ 쿼리 스트링 예시
</aside>
<http://www.example.com/path?param1=value1¶m2=value2>
"param1=value1"**과 **"param2=value2"**는 각각 쿼리 문자열의 파라미터이다.
각 파라미터는 "=" 기호로 구분되며, **키**와 **값**으로 구성된다. 여러 파라미터는 "&" 기호로 구분된다.HTTP GET 요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, 이는 데이터를 URL에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. 그러나 이 방식은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. 이런 경우에는 HTTP POST 요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HTTP 요청 본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.<aside> 1️⃣ @RequestParam이란?
</aside>
@RequestParam이라는 어노테이션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.
@RequestParam**은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HTTP 요청의 쿼리 문자열의 파라미터를 핸들러 메서드의 파라미터로 바인딩하는 역할을 한다.@RequestParam 어노테이션이 **Map<String, Object>**와 함께 사용되면, 이는 모든 요청 파라미터를 key-value 쌍의 형태로 받아들이게 된다.<aside> 2️⃣ @RequestParam의 처리과정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