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컬 요청을 위해 포트포워딩 하기 (로컬 k8s)
지금 엘라스틱은 내가 ClusterIP로 설정해두고 NodePort가 아니라서 요청을 못받는다.
- 문제점은 이 설정대로라면, Elasticsearch는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
ClusterIP
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어. ClusterIP
서비스는 클러스터 내부 통신용으로 설계되어 있어서, 클러스터 외부에서는 직접 접근할 수 없다. (postman 요청이 안된다.)
해결방법: 포트 포워딩을 사용한 접근
- 만약 임시적으로 로컬에서 접근하고 싶다면, **
kubectl port-forward
**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. 예를 들어, 다음 명령을 사용하면 로컬의 9200 포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어:
kubectl port-forward svc/elasticsearch-master 9200:9200 -n devops-tools
- 이 명령을 실행하면 **
localhost:9200
**을 통해 Elasticsearch에 접근할 수 있게 되니, Postman 같은 도구에서 쉽게 테스트할 수 있어.

2. 엘라스틱 API 키 발급받고 Authorization에 입력하기
- 나는 키바나를 사용중이라 키바나 화면에서 elastic search를 선택하면 메인에 API 키 발급이 가장 먼저 보인다. “New”를 클릭한다.

- 우측에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열릴것이다.
- 여기서 이름 정하고 Expires를 설정해주고 “Create API Key”로 만들어주면 된다. (만든 키는 다시 확인못하니 바로 어딘가에 복사해두도록 하자)
